추후 작업 및 정보공유 목적을 위해 기록해 본다.
기본적으로 본딩 설정은 NIC 2개 이상을 기반으로 물리적인 장애 발생을 우회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해 준다.
설정 방식은 2가지 방식이 있다.
1. 네트워크 config 설정을 통한 작업 [작업 선택]
2. NetworkManager를 통한 작업 [작업 선택]
두 가지를 모두 기록해 두기로 한다.
가. 네트워크 config 설정을 통한 작업
1. 물리적 네트워크 확인
#ifconfig ![]() |
#nmcli d![]() |
둘중 하나로 물리적인 네트워크 2개 이상 확인 및 설정할 인터페이스 확인 필자는 enp0s8과 enp0s9를 할 예정이다. |
2. 물리적 네트워크 확인
# 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 > 네트워크 설정경로로 이동 및 Config파일 확인 ![]() |
3. 인터페이스 설정
> 맴버설정 # vi [설정할 인터페이스 명칭] ![]() > 설정 값 ![]() |
BOOTPROTO=none > 고정아이피 사용 ONBOOT=yes > 부팅시 자동 실행 NM_CONTROLLED=no > 네트워크매니저 비사용 MASTER=bond0 > bond0에 종속 SLAVE=yes > 위의 MASTER에 구성맴버로 동작할지 여부 USERCTL=no > 사용자계정으로 장치제어 불가 설정 |
이렇게 설정하고 싶은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 해준다. (종속되는 네트워크) 필자는 ifcfg-enp0s8, ifcfg-enp0s9 설정함. |
> MASTER 설정 # vi [설정할 본딩 명칭] 필자는 bond0설정 ![]() |
|
# vi bond0![]() |
DEVICE=bond0 > 디바이스 명칭 TYPE=Ethernet > 타입설정 (Ethernet, bond 등) ONBOOT=yes > 부팅시 자동 실행 BOOTPROTO=none > 고정아이피 사용 USERCTL=no > 사용자계정으로 장치제어 불가 설정 NM_CONTROLLED=no > 네트워크매니저 비사용 ... BONDING_MASTER=yes > 본딩장치로 동작 여부 BONDING_OPTS="mode=1 miimon=100" > 본딩 옵션 (mode=1 (Active/Backup)) (miimon=100 (모니터링 주기)) |
4. 네트워크 데몬 중지/비활성화
# systemctl stop NetworkManager > 데몬 중지 # systemctl status NetworkManager > 중지 확인 # systemctl disable NetworkManager.service > 비활성화 ![]() ![]() |
5. 본딩 모듈 적재
# modprobe bonding > 본딩 모듈 적재 # lsmod |grep "bonding" > 본딩 모듈 확인 ![]() |
6. 네트워크 서비스 재기동
# systemctl restart network > 네트워크 재기동 # ifconfig > 설정한 bond0 체크 ![]() |
# cat /proc/net/bonding/bond0 > 설정한 본딩 상태정보![]() |
'〔 SERVER 〕 > ↗『Linux』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]_7.x 네트워크 Bonding 설정 (2편) (0) | 2021.11.06 |
---|---|
[Centos]_7.x 리눅스 GUI모드 설치 (0) | 2020.08.14 |
[Centos]_7.x 리눅스 GPU 설치 (1) | 2020.08.11 |
[Centos]_7.x 리눅스 방화벽 설정 (0) | 2020.02.17 |
[Centos]_7.x버전 최소 설치 후 ifconfig 명령어 인식 불가 (0) | 2020.0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