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INDOWS] PC에 윈도우 PE심어두기
PC에 윈도우 PE심어두기 제 2장을 시작한다.
1장은 HDD의 GRUB4DOS를 활용하기 위하여 MBR과 PBR 작업을 진행하였다,
2장은 PBR구성한 파티션에 PE를 심고, 작동하게 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.
1. 폴더에 GRUB4DOS 구성 넣기
- 상단에 첨부한 GRUB4DOS 구성 압축파일을 PBR작업한 곳에 풀어준다.
|
- 압축을 풀면 이렇게 4가지의 폴더가 나올 것이다.
- 순서대로 말하면, ISO폴더는 윈도우PE.iso파일을 넣어두는 곳이다. (windows PE는 알아서 구하시길 바란다.)
- menu는 부팅시 원하는 메뉴및 간단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리스트 파일이다.
- splash.xpm 은 부팅 이미지 파일이다. (현재는 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. 이 이미지는 변경 방법은 추후에 포스팅하겠다.
2. menu.list 파일 편집
- 이제 부팅할때 menu를 편집하여 보자.
- menu리스트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편집을 실행한다.
- 간단하게 몇가지만 넣어 두었다.
timeout 30 default 0 splashimage=/splash.xpm.gz <- 자신이 지정한 바탕이미지를 불러오는 것이다. 넣고 안넣고는 마음대로 title WIN_7_PE <- title은 메뉴에 보이는 글귀다. find --set-root /ISO/WIN7PE.iso <- PE를 불러오는 경로및 파일 선택이다. map /ISO/WIN7PE.iso (0xff) < 매핑시키는 작업이다. map --hook chainloader (0xff) title [REBOOT] reboot title [EXIT] halt |
- 이후 MobaLiveCD 같은 프로그램으로 가상으로 띄워 보면
- 이와 같이 뜰 것이다.
- 나와 같이 구성 할것이라면 windows PE를 찾아 파일명을 WIN7PE.iso으로 바꾸어 주거나, 아니면 menu리스트파일에서 해당 PE와 같은 이름으로 구성하면 된다.
3. 파티션 설정
- OS영역은 활성화 되어있는것을 비활성화 시켜 주시고,
- 설정하신 파티션 영역은 활성으로 변환 시켜야 합니다.
- 대상 디스크를 선택하고, 파티션 관리에 들어가, 활성/비활성화를 진행합니다.
- 파티션위자드라던지 파티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것이 정신건강에 좋을것입니다.
여기서 주의 사항을 이야기 하면, OS영역 즉 C: 드라이브의 경우 활성화를 없애야 합니다. 그래야 아까 MBR작업을 한 이유가 설명이 됩니다.
즉, MBR작업은 OS영역으로의 진입을 의미하는데, PBR은 선택한곳을 그루브하는 부팅 구조입니다.
더 간단하게 말하자면, 처음 부팅할 때 아무키도 누르지 않으면, MBR작업을 했던 C드라이버로 부팅이 되는 것이고, F11(설정한 부팅키)를 누르면 PBR작업을 한 곳을 찾아 부팅되는 원리입니다. 또한 원했던 시간(필자는1초)를 지나면 다시 MBR작업을 한곳이 부팅되는 것입니다.
- 필자의 세팅 완료 화면이다.
- F11을 1초로 해서 순식간에 지나가지만 잘 보면 상단에 누르라는 글이 나온다.
'〔 OS 〕 > ↗『Windows』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indows]PC에 윈도우 PE심어두기 -1장- (0) | 2018.04.26 |
---|---|
[WINDOWS] 파일을 다운 받았으나 파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조치 방법 (3) | 2017.11.07 |
[WINDOWS7] x86 x64 설치 가능여부 판단하기 (0) | 2016.09.13 |
[Batch file] 기초 정리 및 사용방법 (0) | 2016.08.05 |
[노트북] 노트북으로 와이파이존 만들기 (0) | 2016.07.28 |